컴퓨터 엑셀 워드 포토샵 구글어스 WINDOWS JAVASCRIPT JAVA C++

 
Previous Post 리눅스/유닉스의 셀(Shell)이란? bash Shell 이란?[리눅스] 실행 파일의 위치 알아내기: which 명령숨김 속성의 파일/폴더 보이게 하기; 윈도우의 히든 파일 (Hidden File) 나타내는...[펄 프로그래밍] Perl/Tk 에서, 한글 사용하기; 한글 인코딩Cygwin의 리눅스 유틸리티/프로그램들은 Cygwin 안에서만 실행되나요? [QnA][QnA] blogspot.com 의 한글 블로그가, 익스플로러(IE)에서 보이지 않아요;...[오피스/MS워드] 원문자(동그라미 속의 숫자나 글자) 그리기 - Circled Chara...일본어 뉴스 클립을 블로그 메인의 사이드 바에 붙였습니다 - Japanese News Clip블로그에 구글뉴스(Google News) 클립을 붙여 보았습니다; 사이드바 아래쪽에[Perl] Perl/Tk 기초 예제; 펄 Tk 란?

파일의 '기록 가능 속성 (Archive File Attribute)' / '보관 속성'이란 무엇입니까? [QnA]

Tuesday, July 11, 2006
스폰서 링크

윈도우 파일 속성 - File Attribute

클릭하면 확대. 옆으로 스크롤 가능

윈도 탐색기 (Windows Explorer) 등에서, 파일을 선택하고 키보드의 Alt+Enter 키를 누르면 그림 아래쪽의 창이 나옵니다. 이 화면에서 "고급" 버튼을 누르면 "기록 가능"이라는 것이 나오는데, 이것에 체크하면 기록 속성 (Archive File Attribute) 이 켜집니다. 그림의 우측 상단의 탐색기에서, "특성"이라는 곳에 현재 A 라고 되어 있는데, 기록 속성이 켜져 있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이것은 하드가 NTFS로 포맷된 경우이고, 만약 FAT32로 포맷되었다면 "고급" 버튼이 없고, 그냥 "보관"이라고만 되어 있습니다.



Archive File Attribute 속성의 의미


별로 중요한 속성은 아니고, 그 파일을 백업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좀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마지막 백업 이후로, 파일이 수정되었으니, 다시 백업하라"는 의미입니다.

만약 Archive 속성을 지우고, 파일을 편집하고 저장하면, 다시 Archive 속성이 자동으로 켜집니다. 또한, 파일을 처음 만든 경우, 어디선가 복사해 온 경우, 파일명을 변경한 경우에도 기록 속성이 자동으로 켜집니다.


모든 파일을 백업하는 것보다, Archive 속성이 켜진 파일들만 백업하면,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합리적일 것입니다. 그러나 백업 프로그램들은 Archive 속성을 무시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왜냐하면, 백업되지 않은 파일인데도 어떤 이유에 의해서 Archive 속성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저의 경우, 하드에 파일을 만들면 그 파일의 Archive 속성을 제거해 버립니다. 그러면 그 파일의 내용이 변경되었는지 아닌지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파일 중의 1바이트라도 변경된다면 Archive 속성이 자동으로 켜지기 때문입니다.




더 읽기:
윈도우 | Windows 7 | Windows XP | Windows 2000

2 Comments:
At July 12, 2006 at 3:26 AM, Anonymous Anonymous said...

윈도우 98과 MSDOS가지고 장난칠 때 attrib 명령어로 msdos.sys 수정하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 뭘 하려던 속셈이었는지;

 
At July 12, 2006 at 10:22 AM, Blogger mwultong said...

오리지날 도스의 MSDOS.SYS 는 이진 파일이었는데, 윈도98에서는 ini 형식의 텍스트 파일로 바뀌었더군요..

(∩_∩)

 

Post a Comment

<< Home RSS 2.0 feed

구글 Google 에서 제공하는 무료 블로그 서비스인 블로거 Blogger 의 인터넷 주소는 www.blogger.com 입니다. Blogger 에 블로그를 만들면, blogspot.com 이라는 주소에 블로그가 생성됩니다.
블로그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최신 게시물을 구독하려면 RSS 2.0 feed 주소를 리더기에 등록하시면 됩니다.
Categories
Previous Posts
Monthly Archive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