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엑셀 워드 포토샵 구글어스 WINDOWS JAVASCRIPT JAVA C++

 
Previous Post [HTML-JavaScript] INPUT 과 TEXTAREA 태그의, 읽기전용(reado...[포토샵 강좌] 펜(Pen) 툴로, 베지어 곡선 그리기: Bezier Curve[포토샵 강좌] 직선 그리기, 정확한 수직선/수평선/사선 그리기: Line[배치파일 강좌] 배치파일 만드는 법 / .BAT 파일; 일괄 파일(Batch File)이란?[배치파일 강좌] GOTO 명령 / 라벨(레이블; Label)에 대해서[HTML-CSS] div 태그에 스크롤바(Scroll Bar) 붙이기윈도우 도스창에서의, 파일 비교 명령은? ; 텍스트 파일 / 이진 파일 비교[텍스트 에디터 기초] Replace / Replace All 이란? : 문자열 치환오디오나 윈앰프의 '이퀄라이저'란? : 그래픽 이퀄라이저(Graphic Equalizer)[QnA] UTF-8 이란 어떤 인코딩입니까?

리눅스/유닉스 텍스트 파일에서의, 행갈이 문자 (Line Feed / Carriage Return) 는?

Saturday, June 17, 2006
스폰서 링크

리눅스/유닉스 텍스트 파일에서의 행갈이 문자는
16진수로 0A 입니다.

도스/윈도우 파일에서의 행갈이 문자는
16진수로 0D 0A 입니다.

MAC(애플의 매킨토시) 텍스트의 행갈이 문자는
16진수로 0D 입니다.



0A : Line Feed
0D : Carriage Return


즉, 리눅스/유닉스 텍스트 파일에서의 행갈이 문자는 1바이트이고, 도스/윈도우의 행갈이 문자는 2바이트이기 때문에, 리눅스/유닉스 텍스트 파일의 크기가 더 작고 효율적입니다. 그러나 윈도우의 메모장에서는 0D 0A 로 행갈이하지 않는 텍스트 파일은 잘 읽을 수가 없습니다. 이때는 울트라에디트 같은 전문적인 에디터로 문서를 읽어야 합니다.



참고로, 행갈이 문자는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헥사 에디터나 헥사 뷰어로 보아야만 보입니다.

울트라에디터에서 Ctrl+H 키를 누르면 헥사 모드가 되는데, 여기서 행갈이 문자를 16진수로 볼 수 있지만, 울트라에디터는 기본적으로 모든 종류의 텍스트 파일을 항상 도스 텍스트로 임시로 변환하여 편집하기에 정확히 보이지는 않습니다. 본격적인 헥사 에디터가 필요합니다.




▶▶ [QnA] 텍스트 파일의, 행갈이(newline) 문자란?

▶▶ 텍스트 파일의, Line Feed (LF)와 Carriage Return (CR)이란?: 행갈이/행끝/줄바꿈 문자



☞ 텍스트 에디터

0 Comments:

Post a Comment

<< Home RSS 2.0 feed

구글 Google 에서 제공하는 무료 블로그 서비스인 블로거 Blogger 의 인터넷 주소는 www.blogger.com 입니다. Blogger 에 블로그를 만들면, blogspot.com 이라는 주소에 블로그가 생성됩니다.
블로그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최신 게시물을 구독하려면 RSS 2.0 feed 주소를 리더기에 등록하시면 됩니다.
Categories
Previous Posts
Monthly Archives
Top